본문 바로가기
사회&문화

대구시, 6,178억 투입해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만든다

by 대구boy 2025. 2. 10.
반응형
"출생률 전국 2위 도시의 육아 지원 전략"
"보육료 인상 최소화·교육비 동결로 가정 부담 덜어"

대구시, 6,178억 투입해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만든다
2025년 제1차 보육정책위원회. 사진=대구시제공

 

대구광역시가 역대 최대 규모의 보육 지원 정책을 통해 지역 내 출산율 제고와 육아 부담 해소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2월 6일 시청에서 열린 제15회 보육정책위원회에서는 학부모 대표와 보육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2025년 시행될 종합보육계획을 최종 확정했다. 이번 정책의 핵심은 물가 상승 속에서도 학부모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질 높은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반응형

5대 핵심 전략으로 보육 혁신

대구시는 올해 5대 정책과제 아래 32개 시책사업을 추진한다:

  1. 공보육 인프라 확충 : 국공립어린이집 확대
  2. 보육료 부담 경감 : 학부모 실비부담 최소화
  3. 안전환경 조성 : 어린이집 안전시설 전수점검
  4. 교사 역량 강화 : 보수교육비 지원 확대
  5. 맞춤형 서비스 : 장애아동 특화보육 운영

시 관계자에 따르면 올해 총 6,178억 원이 투입되는 이번 계획은 5대 핵심 전략을 기반으로 추진된다.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을 통한 공보육 인프라 강화가 첫 번째 축이며, 보육료와 교육비 동결을 통한 가정 경제 지원이 두 번째 축을 이룬다. 특히 민간·가정 어린이집 이용 아동에 대한 누리과정 보육료 수납한도액을 전년 대비 월 5,000원 인상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정부 인건비 미지원 시설의 운영난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물가상승률 반영한 현실적 지원

주요 정책 변화점:

  • 누리과정 보육료 : 민간·가정어린이집 월 5,000원 인상(전체의 23%)
  • 현장학습비 : 연 10,000원 인상(물가상승률 3.6% 반영)
  • 차량운행비 : 월 2,000원 인상(유류비 상승 대응)
  • 특별활동비 : 국공립·민간 구분 단일화(형평성 제고)

현장에서의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 조정이 눈에 띈다. 학부모들이 가장 부담스러워하던 입학준비금과 특별활동비의 경우 국공립과 민간 시설 간 차등을 없애는 형평성 개선이 이뤄졌다.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현장학습비는 연 10,000원, 차량운행비는 월 2,000원씩 인상했지만, 급식비와 행사비 등은 동결해 가정 경제에 대한 배려를 드러냈다. 보육교직원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보수교육비도 지속적인 지원이 결정되면서 서비스 질 관리에 대한 고민이 엿보인다.

숫자로 보는 대구 보육 현황

  • 출생률 증가 : 2024년 11월 기준 전년比 +6.3%(전국 평균 3.0%)
  • 보육시설 : 총 1,824개소(국공립 28%, 민간 59%, 가정 13%)
  • 예산 규모 : 6,178억 원(중앙정부 83%, 지방비 17%)

이러한 노력의 결과는 최근 통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4년 11월 기준 대구시 누적 출생아 수는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으며, 이는 전국 평균 증가율(3.0%)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박윤희 청년여성교육국장은 "출산율 상승은 육아 지원 정책의 종합적 효과"라며 "국공립 어린이집 비율을 현재 28%에서 2026년 35%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