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2024년에 변경되는 출산장려금과 관련 지원 정책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정부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출산과 양육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과연 어떤 점들이 달라졌을까요?
1. 첫만남이용권, 둘째부터 더 커졌어요!
첫만남이용권은 아이가 태어났을 때 받는 일종의 축하금인데요. 2024년부터는 둘째 이상 출생 시 300만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첫째는 기존과 같이 200만원이에요. 다자녀 가정에 대한 지원이 강화된 셈이죠.
2. 부모급여도 쑥쑥 올랐습니다
0세 아이에 대한 부모급여가 월 100만원으로, 1세는 월 50만원으로 각각 30만원, 15만원씩 인상되었어요. 육아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려는 노력이 보이네요.
3. 산후조리비용 세액공제, 이제 모든 소득층에 해당!
기존에는 연소득 7천만원 이하 근로자만 받을 수 있었던 산후조리비용 세액공제가 이제는 소득 제한 없이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됩니다.
4. 신생아 가정을 위한 특별 주택자금 대출 신설
아이가 태어난 가정은 최대 5억원까지 주택 구입자금을 대출받을 수 있게 되었어요. 주거 안정이 출산율 향상에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한 정책이네요.
5. 난임 시술비 지원 대폭 확대
난임으로 고민하는 분들에게 희소식입니다. 소득기준이 폐지되어 모든 가구에 지원이 가능해졌고, 체외수정 시술 간 지원 횟수 제한도 없어졌어요.
6. 임산부 의료비 지원 확대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의 소득기준이 폐지되었고, 임신 사전건강관리 및 보조생식술 지원도 확대되었습니다.
Q&A. 2024년 저출산정책에 관해 자주 묻는 질문 5가지와 답변
- Q: 2024년 부모급여는 어떻게 변경되나요?
A: 2024년부터 부모급여가 인상됩니다. 0세 아동에 대해 월 100만원(기존 70만원), 1세 아동에 대해 월 50만원(기존 35만원)으로 증액됩니다 - Q: 첫만남이용권 지원금액이 변경되나요?
A: 네, 변경됩니다. 첫째 아이는 기존과 같이 200만원이지만, 둘째 아이부터는 300만원으로 100만원 증액됩니다 - Q: 육아휴직 제도에 어떤 변화가 있나요?
A: 2024년부터 '6+6 부모육아휴직제'가 시행됩니다.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각각 첫 6개월 동안 통상임금의 100%(월 200만~400만원 한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Q: 임신·출산 관련 의료비 지원에 변화가 있나요?
A: 네,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과 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의 소득기준이 폐지되며, 지원기간도 24개월로 확대됩니다. 또한, 2세 미만 영유아의 입원진료비 본인부담금이 면제됩니다 - Q: 신혼부부나 출산 가구를 위한 주거 지원 정책이 있나요?
A: 네, 2024년부터 신생아 출산 가구에 대한 특례 주택구입 및 전세자금 대출이 신설됩니다. 최저 수준의 금리로 최대 5억원까지 주택 구입자금 대출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2024년에는 출산과 양육에 대한 지원이 전반적으로 확대되었네요. 특히 소득기준 폐지를 통해 더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출산을 고민하고 계신 분들, 이미 아이가 있는 분들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였기를 바랍니다.
[참고자료]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저출산 고령화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대통령직속기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www.betterfuture.go.kr
http://www.socialpolicy.go.kr/drvPlan.do?gubun=02
사회정책 대표 누리집
자유의 가치와 든든한 연대가 만드는 희망의 대한민국
www.socialpolicy.go.kr
'정부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일·한중 정상회담, APEC서 열려…북한·러시아 파병 문제 논의 (4) | 2024.11.18 |
---|---|
수도권 아파트 디딤돌대출 한도 축소...12월 2일부터 시행 (2) | 2024.11.07 |
정부, 일용직 건강보험료 부과 방침 검토... 외국인 노동자도 타깃? (0) | 2024.11.04 |
2024년 하반기부터 바뀌는 법안들 : 알아두면 좋은 정보 (0) | 2024.05.24 |
법 개정으로 바뀐 동물보호법, 당신에게 미치는 영향은? (0)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