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없는버스3 대구시, 4월부터 '현금 없는 버스' 전면 시행...연간 8억원 절감 효과 현금 수납 중단으로 운영 효율성 높인다 다양한 결제 수단으로 시민 불편 최소화 대구광역시가 4월 1일부터 시내버스 전 노선에서 현금 수납을 중단하고 교통카드만 이용하는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전면 시행한다. 이를 통해 연간 8억 2천만 원의 현금관리 비용 절감과 함께 버스 운행 효율성 개선이 기대된다. 대구시는 지난해 7월부터 3차에 걸쳐 단계적으로 현금 없는 버스를 시범 운영했다. 1차 98대(5개 노선), 2차 583대(40개 노선), 3차 1,034대(77개 노선)를 대상으로 진행된 시범 운영 결과, 현금 승차 비율이 2023년 2.2%에서 2025년 2월 말 기준 0.5%로 크게 감소했다. 시범 운영 기간 동안 충분한 사전 홍보와 운수종사자들의 친절한 응대로 특별한 민원도 발생하지 않았다.시는.. 2025. 3. 26. 대구 버스노선 10년 만의 대변혁: 직행노선 신설과 현금 없는 버스로 시민 편의성 업그레이드! 외곽-도심 직행노선 신설·중복노선 정비로 대중교통 효율성 극대화현금 없는 버스 전면 도입·서대구역 접근성 강화 등 시민 편의성 제고 대구광역시가 2015년 이후 10년 만에 단행하는 시내버스 노선 개편이 2월 24일 본격 시행됩니다. 이번 개편은 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 대구권 광역철도(대경선) 개통, 신규 주택·산업단지 조성 등 도시 공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직행노선 신설과 중복노선 정비를 통해 '시민의 발' 역할을 강화할 전망입니다.■ 10년 만의 교통 혁명: 122개 노선 중 58% 조정대구시에 따르면 기존 122개 노선 중 53개만 존치되고, 54개 노선이 변경·15개 폐지되며 20개 신규 노선이 추가됩니다. 개편 후 총 127개 노선(직행 2, 급행 12, 간선 60, 지선 53).. 2025. 2. 21. 대구시, '현금 없는 시내버스' 확대 운영 40개 노선 583대로 확대, 준공영제 운행 대수의 37.2% 차지안전성 향상과 비용 절감 기대, 전 노선 확대 계획 대구시가 오는 11월 1일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 운영을 대폭 확대합니다. 기존 5개 노선 98대에서 40개 노선 583대로 늘어나며, 이는 대구시 준공영제 운행 대수의 37.2%에 해당합니다. 지난 7월부터 3개월간의 시범 운영 결과, 시범노선의 교통카드 미사용 승객이 1.4%에서 0.17%로 크게 감소했으며, 전체 현금 사용 비율도 1.1%로 줄어들었습니다. 특히 '어르신 통합무임 교통카드' 보급으로 고령층에서도 큰 불편 없이 이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확대 운영으로 거스름돈 환전에 따른 사고 위험과 운행 지연을 예방하고, 현금수입금 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2024. 10.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