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젊은 층도 안심할 수 없다: 무릎관절증의 증상, 치료, 예방법 총정리

by 대구boy 2025. 5. 8.
반응형
무릎관절증, 더 이상 노년층만의 질환이 아니다
무릎 건강을 지키는 생활습관과 운동법

무릎관절증

 

최근 무릎관절증이 60대 이상 노년층뿐 아니라 20~40대 젊은 층에서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퇴행성 관절증 환자는 2019년 404만 명에서 2023년 433만 명으로 7% 이상 늘었습니다.

 

1. 무릎관절증, 왜 젊은 층에서도 늘고 있나?

무릎관절증, 왜 젊은 층에서도 늘고 있나?

무릎관절증은 무릎에 통증을 일으키는 모든 질환을 포괄합니다. 과거에는 주로 노화로 인한 퇴행성 관절염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레저스포츠 인구 증가, 잘못된 생활습관, 비만 등으로 젊은 층에서도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퇴행성 관절증 환자는 2019년 404만 2,159명에서 2023년 433만 2,516명으로 7.27% 증가했습니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24)

2. 무릎관절증의 주요 증상과 원인

  • 무릎 부종: 관절주머니 내 활액막 염증, 관절액 증가로 인한 통증
  • 소리 나는 무릎: 연골 마모, 퇴행성 골관절염, 추벽증후군
  • 뻣뻣한 무릎: 류마티스 관절염, 아침에 심한 경우 의심
  • 뜨거운 무릎: 통풍, 감염 등
반응형

[표] 무릎관절증 주요 증상 및 원인

무릎관절증 주요 증상 및 원인

증상 주요 원인 특징 및 치료법
부종 활액막염, 연골판 손상 주사치료, 휴식, 필요시 수술
소리/통증 연골 마모, 추벽증후군 약물, 물리치료, 관절내시경
뻣뻣함 류마티스 관절염 혈액검사, 조기치료 필수
열감 통풍, 감염 혈액검사, 약물, 필요시 수술

3. 무릎관절증 치료법과 오해 바로잡기

Q. 무릎 주사는 다 똑같다?

A. 아닙니다. 스테로이드 주사와 히알루론산 주사가 있으며, 각각 효과와 부작용이 다릅니다.

Q. 인공관절수술 후 양반다리 불가?

A. 아닙니다. 운동 범위는 다소 줄지만, 대부분 양반다리가 가능합니다.

Q. 무릎관절염 환자는 운동 금지?

A. 아닙니다. 걷기, 수영, 실내 자전거 등 적절한 운동은 오히려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Q. 매일 걷기운동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

A. 맞습니다. 단, 무리하지 않고 평지에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등산은 절대 금지?

A. 아닙니다. 근력 강화 후, 평탄한 산부터 시작하면 가능합니다.

 

 

 

 

 

4. 무릎 건강을 위한 생활습관과 운동법

  • 양반다리, 쪼그려 앉기, 꿇어앉기 등 무릎에 부담을 주는 자세 피하기
  • 의자에 앉거나 바닥에 누워 다리 들어올리기 등 간단한 근력운동 반복
  • 걷기, 수영, 아쿠아로빅 등 저충격 운동 권장
  • 등산 시 등산화, 스틱 등 보호장비 착용, 준비운동 필수

“적절한 강도의 운동을 규칙적으로 시행하면 관절 주변 근력이 강화되어 관절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 박기봉 울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교수


 

자료제공: 한국건강관리협회 경상북도지부(대구북부건강검진센터)
글: 박기봉 울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교수
출처: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소식 2025년 5월호
검진문의: (053)350-9000
네이버 예약: https://booking.naver.com/booking/6/bizes/222044

 

 

※ 본 글은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며, 개인의 증상에 따라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