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행정

수천억 예산 속 '워라밸' 최하위…대구시 일·생활 균형 정책의 성과 논란

by 대구boy 2025. 2. 2.
반응형
전국 평가 15위·예산 1천억 원 시대 속 '성과 부진' 질타
"예산만 쏟아붓고 현장 답사 없는 정책" 전문가들 지적

수천억 예산 속 '워라밸' 최하위…대구시 일·생활 균형 정책의 성과 논란
'워라밸은 대구로' 홍보 포스터.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일·생활 균형 분야에 연간 1,000억 원 이상 투자했음에도 2025년 전국 평가에서 15위를 기록하며 역대 최저 성적표를 받았다. 고용노동부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가사서비스 지원 부문에서 0점을 포함, 4개 평가 항목 전체에서 지난해보다 6점 하락한 결과다.

반응형

이번 평가에서 특히 문제로 지목된 것은 남성 육아휴직 비율(5.2%)과 주 52시간 이상 근무자 비율(전국 평균 +15%)이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전기택 선임연구원은 "평가 기준이 1년 전 공개됐음에도 컨설팅 프로그램 운영 등 대응이 피상적이었다"고 지적했다.

 

현장에서는 정책과 실제 근무 환경의 괴리가 더욱 심각하다는 반응이다. 대구일생활균형지원센터의 '워라밸 문화 확산 캠페인' 에 참여한 한 중소기업 대표는 "유연근무제 도입 매뉴얼만 200페이지가 넘어 실무 적용이 불가능하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구시는 2026년 완공 예정인 스마트워크 허브 조성과 AI 근무환경 분석시스템 도입을 발표했다. 김영철 시 정책기획관은 "MZ세대 특성에 맞춘 디지털 전환 정책으로 내년 순위 상승을 목표로 한다"고 강조했으나, 지역 청년노동단체는 "노동시간 감축 없는 테크놀로지 정책은 본질을 호도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관련 링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