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자체 정책38

아프면 병원 가세요! 의료급여제도 쉽게 알아보기 오늘은 어려워 보이지만 알고 나면 정말 도움 되는 '의료급여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의료급여제도는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층의 의료문제를 국가가 보장하는 공공부조제도입니다. 의료급여제도가 뭐예요?의료급여제도는 쉽게 말해 '돈이 없어도 병원에 갈 수 있게 해주는 제도'에요. 국가에서 돈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분들의 병원비를 대신 내주는 거죠. 의료급여 대상자의료급여 대상자는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1종 수급권자: 근로무능력세대, 희귀난치성질환자, 중증질환자(암환자, 중증화상환자 등), 시설수급자 등2종 수급권자: 1종 수급권자에 해당되지 않는 나머지 수급권자 의료급여 본인부담금의료급여 대상자의 본인부담금은 다음과 같습니다:구분1차(의원)2차(병원)3차(지정병원)약국1종무료무료무료무료2종1,000원15%1.. 2024. 9. 10.
알아두면 힘이 되는 시민행복보장제도 우리 사회의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 제도인 '시민행복보장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제도는 생활이 어려운 분들이 기초생활보장급여를 받지 못하는 이유로 최소한의 생활 보장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1. 시민행복보장제도란?시민행복보장제도는 2015년 10월부터 시행된 제도로, 실제 생활은 어려우나 부양의무자 기준 등으로 인해 기초생활보장급여를 받지 못하는 차상위계층(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에게 최소한의 생활보장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2. 지원 대상은 누구인가요?이 제도의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부양의무자 기준 초과로 생계·의료급여를 받지 못하는 가구생활조정수당을 지급받는 국가유공자 특례가구중증장애인 및 탈시설 자립정착 특례가구 3. 선정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대상자 선정을 위해서.. 2024. 9. 6.
대구시 자활지원사업 안내 : 일하는 기쁨, 자립의 힘 자활근로는 근로 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일자리를 제공하고 자활 능력을 키우는 사업입니다. 2000년 10월 1일부터 시행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운영되고 있습니다.1. 사업 목적안정적인 일자리 제공자활 능력 향상저소득층의 경제적 자립 지원2. 참여 대상조건부수급자자활특례자일반수급자 중 희망자 (근로 능력 무관)차상위계층전문기술 보유자 등3. 사업 유형근로유지형사회서비스형인턴·도우미형시장진입형4. 주요 사업 분야간병집수리청소폐자원 재활용음식물 재활용기타 지역 특화 사업 (영농, 도시락 배달, 세차 등)5. 참여 기간최대 60개월 (단, 근로유지형은 기간 제한 없음) 급여 지급 (2024년 기준)구분시장진입형사회서비스형근로유지형일급61,930원54,200원31,800원월 소득액1.. 2024. 8. 27.
복지 사각지대 zero! 대구시 시민행복보장제도 소개 시민행복보장제도는 실제로 생활이 어렵지만 기존 복지제도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차상위계층을 위한 대구시의 독자적인 복지 정책입니다. 2015년 10월부터 시행되었으며,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지원 대상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의 차상위계층부양의무자 기준 초과로 기초생활보장을 받지 못하는 가구생활조정수당을 받는 국가유공자 가구중증장애인 및 탈시설 자립정착 특례가구선정 기준 (2024년 기준)소득인정액 기준가구원 수1인2인3인4인5인6인월 소득인정액(원)1,114,2221,841,3052,357,3282,864,9563,347,8673,809,184 1. 재산 기준금융재산 2,500만원 초과 시 제외자동차 소유 시 제외2. 부양의무자 기준원칙적으로 폐지단, 고소득(연 1.2억원) 또는 고.. 2024. 8. 27.